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조건 (25년 최신)

by vivaworker 2025. 4. 2.

“나는 그냥 직장인인데, 종합소득세 신고… 안 해도 되는 거 맞죠?”
네, 조건만 정확히 알면 걱정 없이 패스해도 됩니다.
오늘 딱 '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조건'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.

 

 

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조건

 

 

 

1.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이란?

종합소득세는 ‘모든 사람’이 신고하는 게 아닙니다.
정해진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신고할 필요조차 없습니다.

 

✅ 세무서에서 안내문이 안 왔다면?
✅ 홈택스에 ‘신고 대상자 아님’으로 뜬다면?
신고 안 해도 됩니다.

 

 

 

 

2. 2025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조건 5가지

아래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종합소득세 신고는 "패스"입니다.

 

조건 설명
✅ 연말정산 완료된 단일 직장인 1곳에서만 근무하고 연말정산 완료한 경우
✅ 프리랜서 연 소득 100만 원 이하 총 수입이 적어 과세대상이 아닌 경우
✅ 일용직 근로자 3% 세금이 이미 자동 원천징수됨
✅ 금융소득 2,000만 원 이하 예금 이자·배당금 등 합산 기준
✅ 국세청 안내문 미수령 보통 대상자에게만 문자·우편 발송

 

 

 

3. 직군별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예시

👩‍💼 A씨 (일반 직장인 - 1개 회사 근무)

  • 2024년 한 해 동안 한 회사에만 재직
  • 연말정산 100% 완료 (회사에서 자동 처리)

신고 제외 대상

👉 별도 부업 소득이나 투자소득이 없다면 신고 안 해도 됩니다.

 

 

👨‍💼 B씨 (직장인 + 배달 알바 부업)

  • 본업 외에 배달 대행으로 연 70만 원 소득 발생
  • 배달 수입은 현금 입금 + 3.3% 원천징수

신고 제외 대상

👉 부업 소득이 연 100만 원 이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아님.
👉 단, 3.3% 환급 원한다면 자발적 신고는 가능.

 

 

🧑‍🎨 C씨 (프리랜서 유튜버)

  • 유튜브 광고 수익으로 연 80만 원 수입
  • 별도 사업자 등록 없음

신고 제외 대상

👉 소득이 100만 원 이하 → 비과세 범위.
👉 단, 경비처리로 환급을 받고 싶다면 신고해도 OK!

 

 

 

👷‍♂️ D씨 (건설 일용직 근로자)

  • 하루 단위로 근무
  • 매일 3% 원천징수 적용

신고 제외 대상

👉 일용직은 자동으로 세금 처리되므로 별도 신고 불필요.

 

 

🧑‍💻 E씨 (재택 프리랜서 - 플랫폼 외주)

  • 클라우드웍스·숨고·크몽 등에서 건당 50~70만 원씩 외주
  • 연 소득 총합 120만 원, 3.3% 원천징수됨

신고 대상

👉 소득이 100만 원을 초과했기 때문에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💵 F씨 (투자자 - 금융소득)

  • 이자수익 1,000만 원 + 배당소득 800만 원
  • 총합 1,800만 원

신고 제외 대상

👉 금융소득이 연 2,000만 원 이하면 종합과세 대상 아님

 

 

🧑‍⚖️ G씨 (N잡러 - 직장 + 유튜브 + 도서 인세)

  • 회사 다니면서
  • 유튜브로 연 200만 원 수입
  • 전자책 출간 후 인세 50만 원 수입

신고 대상

👉 부업 소득 총합이 250만 원 →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함
👉 소득이 근로+기타소득+사업소득 등으로 분산되면 반드시 합산 신고 필요

 

 

 

👩‍🏫 H씨 (강사 - 한 해에 몇 번 외부 특강만 진행)

  • 학교·기관에서 강의 진행, 사례비 80만 원 수령
  • 3.3% 원천징수 적용

신고 제외 대상

👉 연 기타소득이 100만 원 이하인 경우 비과세
👉 단, 환급 원하면 신고 가능

 

 

 

👩‍⚕️ I씨 (의사 - 2개 병원 파트타임 근무)

  • 병원 A: 근로소득 → 연말정산
  • 병원 B: 외주 계약 (3.3% 프리랜서 계약) → 연 700만 원 수입

신고 대상

👉 근로소득 + 프리랜서 소득 병행 시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
👉 환급 가능성도 있으니, 신고 + 경비처리 추천

 

 

 

👨‍🎓 J씨 (대학생 - 인턴 알바 + 공모전 상금 수익)

  • 인턴 알바: 일용직, 3% 원천징수
  • 공모전 수익: 50만 원

신고 제외 대상

👉 일용직 + 기타소득 합산해도 과세기준 미달
👉 별도 신고 필요 없음

 

 

 

✅ 요약표: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기준 핵심 체크리스트

유형 조건 신고 여부
1곳 직장 + 연말정산 근로소득 외 없음 ❌ 제외
프리랜서 소득 ≤ 100만 원 사업소득 ❌ 제외
금융소득 ≤ 2,000만 원 이자+배당 ❌ 제외
일용직 근무 3% 원천징수 ❌ 제외
부업 소득 + 인세 + 기타 합산 ≥ 100만 원 혼합소득자 ✅ 신고 대상
프리랜서 + 직장 병행 근로소득 + 사업소득 ✅ 신고 대상

 

 

 

 

4. 홈택스에서 직접 대상 여부 확인하는 방법

📱 방법은 간단해요!

 

홈택스 접속 → 로그인

번거롭게 공인인증으로 하지 마시고,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면 편리합니다.

홈택스 로그인

 

 

[세금신고] → [신고도움 자료 조회] 클릭

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

 

해당 서비스에서 본인 소득자료를 참고해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💬 국세청에서 문자나 안내문이 안 왔다면, 대부분 신고 대상이 아닐 가능성 ↑

 

 

 

 

 

5. 신고 제외인데 실수로 신고하면 불이익?

❌ 전혀 없습니다!

✅ 원칙적으로 신고 제외자도 원하면 신고는 할 수 있습니다.
→ 다만 환급이 없다면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.

예: 프리랜서 소득 90만 원 → 신고하면 세금 0원 or 소액 환급
➡ 안 해도 되지만, 환급 원하면 신고 OK!

 

 

 

 

 

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회사 다니고 연말정산 했는데, 안내문 안 왔어요. 그럼 끝인가요?
👉 네! 추가 수입이 없다면 신고 제외입니다.

Q2. 부업으로 80만 원 벌었는데요?
👉 연 100만 원 이하면 신고 대상 아님 (단, 환급 원할 경우는 신고 가능)

Q3. 유튜브 광고 수익이 120만 원이에요. 신고해야 하나요?
👉 네. 100만 원 넘었기 때문에 신고 대상입니다.

Q4. 국세청 문자 안 왔어요. 그래도 홈택스에서 확인해봐야 하나요?
👉 권장합니다. 홈택스에서 ‘대상자 여부 조회’ 한 번만 클릭하세요.

 

 

 

 

✅ 마무리 요약

  • 모든 사람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은 아닙니다.
  • 소득이 적거나 이미 자동 처리된 구조라면 신고 제외
  • 불안하면 홈택스에서 한 번만 조회하면 바로 확인됩니다.

 

 

 

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조건
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조건
종합소득세 신고 제외 대상 조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