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“작년에 프리랜서 수입 있었는데,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해도 되죠?” “3.3% 세금은 이미 떼고 받았으니까 상관없는 거 아니에요?”
👉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. 3.3%는 ‘선납 세금’일 뿐,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정산을 해야 환급을 받을 수 있고, 반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어요.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3.3% 소득을 신고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무신고 가산세, 환급 누락, 세무서 불이익까지 전부 정리해드릴게요.
1. 3.3% 신고 안 하면 어떤 불이익이 생기나?
1)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%
- 정당한 신고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납부세액의 20%까지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- 예: 3.3% 소득에 대해 50만 원의 세금이 정산될 경우 → 무신고 시 약 10만 원 가산세 발생
2) 환급 못 받는 피해
- 3.3%는 ‘선납세금’이기 때문에 실제 소득보다 세금을 더 냈다면 환급 대상입니다.
- 신고하지 않으면 국세청은 환급 의무가 없습니다.
3) 세무서 '비협조 대상자' 등록
- 신고 누락 이력이 반복되면 국세청에서 관리대상자로 등록될 수 있어, 추후 세무조사 리스크 증가
👉 3.3% 원천징수 환급 제대로 받는 법 (프리랜서·알바 필수 환급 조건·시기 총정리)
2. 실전 사례 – 신고 안 했더니 생긴 일
사례 1. 배달 알바 300만 원 수입 신고 안 함
- 연 소득 300만 원 → 3.3%로 10만 원 선납
- 실제 필요경비·공제 반영 시 환급 예상이었지만 신고 누락으로 환급금 0원
- 다음 해 세무서 경고장 수령
사례 2. 유튜브 외주 작업 600만 원 수익 무신고
- 프리랜서 활동으로 3.3% 원천징수 후 입금받음
- 종합소득세 신고 시 약 40만 원 환급 가능했으나 기한 초과로 환급 불가 + 무신고 가산세 8만 원 부과
👉프리랜서 종합소득세 경비 인정 항목 – 인정 vs 불인정 항목 총정리 (2025년 최신)
3. 신고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
- 홈택스 접속 →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조회
- 2024년도 귀속 소득 내역 자동 조회
- 3.3% 원천징수 항목(사업소득, 기타소득 등) 있는지 확인
📌 ‘소득이 적어서 괜찮겠지’ 생각하지 말고, 자동으로 조회되는 소득이 있으면 무조건 신고하세요.
4. 신고하지 않으면 '환급'도, '경비 공제'도 못 받는다!
환급 못 받는 이유?
- 종합소득세 신고 = 선납세금 정산 절차
- 실제 부담 세금보다 많이 냈다면 환급, 적게 냈다면 추가 납부
- 신고 안 하면 자동으로 환급 처리되지 않음
경비공제도 불가
- 노트북 구매, 사무실 임대료, 차량 유지비 등 경비 공제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만 인정됨
- 신고 누락 → 전액 과세처리
5. 이렇게 피하세요 – 3.3% 소득자 체크리스트
체크 항목 | 확인 여부 |
3.3% 떼고 받은 프리랜서·외주 수익 있음 | ☐ |
작년 배달·과외·유튜브 등 부업 수익 있음 | ☐ |
지급명세서나 원천징수영수증 받음 | ☐ |
홈택스 소득 조회에 항목 표시됨 | ☐ |
경비공제/환급을 받고 싶음 | ☐ |
→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!
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작년에 프리랜서 수익이 50만 원밖에 안 되는데 신고해야 하나요?
A. 아니요. 기타소득이 300만 원 이하이고, 경비처리 없이 끝낼 수 있는 경우 신고 생략 가능성 있음. 그러나 홈택스 자동 표시 시엔 신고하는 게 안전합니다.
Q2. 신고는 안 하고, 그냥 넘어가면 어떻게 되나요?
A. 향후 세무조사, 경고장 발송, 환급 불가, 가산세 부과 등의 불이익이 발생합니다. 한 해만 제대로 신고 안 해도, 다음 해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마무리
✔ 3.3%는 '선납세금' → 정산 없이는 환급 불가
✔ 신고 누락 시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%
✔ 반복 누락 시 국세청 관리대상 등록 가능성 ↑
✔ 홈택스에서 자동조회되면 반드시 신고 진행
👇 5월 31일까지 꼭 신고 완료하고, 환급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놓치지 마세요!
👉 2025 종합소득세 신고하러 가기 (홈택스 바로가기)